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산 가서 러브버그 20마리 뿌리고 왔다! "번식 하는 거 아이가?"

반응형

이런 미친사람이 있다니.. 하지만 걱정하지 마시라. 살수없다.!

러브버그(Lovebug, 학명: Plecia nearctica)는 최근 한국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곤충으로, 특히 여름철에 대량 번식과 출몰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사용하신 표현처럼 “부산 가서 20마리 뿌리고 왔다!”는 농담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러브버그가 부산에서 번식할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러브버그의 생태 및 번식 특성

  • 번식 시기: 연 2회 (6~7월, 8월경)
  • 알 낳는 장소: 낙엽이 많은 풀숲, 습지, 하천 주변의 유기물 풍부한 토양
  • 성충 수명: 약 1주일, 짝짓기 상태로 비행하며 번식
  • 이동성: 매우 낮음. 대부분 번식지 근처에서만 활동
  • 확산 경로: 주로 차량 등에 붙어 인위적으로 이동

🌲 부산에서 번식이 어려운 이유

  • 침엽수림 비중이 높음: 부산은 소나무 등 침엽수가 많아 유기물이 적고, 유충 생장에 부적합
  • 습지·낙엽층 부족: 수도권과 달리 러브버그가 선호하는 환경이 부족
  • 현재까지 민원 거의 없음: 2025년 7월 기준, 부산 16개 구·군에서 러브버그 민원 제로 
    1
  • 전문가 분석: “부산은 러브버그 청정 지대”라는 평가도 있음 
    1

결론: “번식 하는 거 아이가?”

  •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매우 낮은 확률입니다.
  • 단, 기후 변화나 인위적 확산(예: 차량 이동 등)으로 장기적으로는 출몰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러브버그가 진짜 익충이 맞나?

🐛 러브버그가 익충인 이유

1. 유충의 역할

  • 낙엽, 썩은 식물, 유기물을 분해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 자연의 청소부’ 역할을 하며, 생태계의 분해자로 기능합니다.

2. 성충의 역할

  • 꽃의 꿀을 먹으며 화분 매개자 역할을 합니다.
  • 꿀벌만큼 적극적이진 않지만, 식물의 수분을 돕는 데 기여합니다.

3. 무해함

  • 사람을 물지 않고독성도 없음.
  • 질병 전파나 농작물 피해도 거의 없음.

🧠 결론

러브버그는 보기엔 불쾌할 수 있지만, 생태계 순환에 기여하는 유익한 곤충입니다. 다만, 대량 출몰 시 불편함을 줄 수 있어 친환경적 퇴치법이 권장됩니다.
 

진짜 징그럽다

📏 러브버그의 평균 크기

  • 몸 길이: 약 6~9mm
  • 날개 길이 포함 시: 약 10~12mm
  • 수컷이 암컷보다 작음
    • 수컷: 약 6mm
    • 암컷: 약 8~9mm
    • 곤충평균 크기
      러브버그 약 6~9mm
      모기 약 3~6mm
      집파리 약 6~7mm
      꿀벌 약 12~15mm
      무당벌레 약 5~10mm

🔍 외형 특징

  • 검은 몸통에 붉은 가슴 부분이 특징
  • 짝짓기 상태로 날아다니며, 두 마리가 붙어 있는 모습이 흔함
  • 날개는 반투명하고, 날아다닐 때는 다소 느릿한 편

 
곤충도감은 여기에 러브버그있다?

곤충 모형과 함께 배우는 곤충 백과 - 과학/환경 | 쿠팡

현재 별점 4.8점, 리뷰 215개를 가진 곤충 모형과 함께 배우는 곤충 백과!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과학/환경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 러브버그의 원산지

1. 미국종 (Plecia nearctica)

  • 원산지: 미국 남부 (특히 플로리다, 텍사스 등)
  • 특징: 미국에서 ‘Lovebug’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짐
  • 출몰 시기: 연 2회 대량 발생 (5월, 9월)

2. 한국 출몰종 (Plecia taiwana 등 아시아계 종)

  • 원산지: 중국 남부와 대만 지역
  • 국내 유입: 2018년 인천에서 첫 공식 발견
  • 확산 경로: 국제 물류, 항만, 공항 등을 통한 비의도적 유입
  • 기후 변화로 인해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확산  
    1

🧬 유사하지만 다른 종

  • 한국에서 발견되는 러브버그는 **미국종과는 다른 아시아계 우단털파리(Plecia spp.)**로 추정됩니다.
  • 외형은 유사하지만, 생태적 특성과 서식 환경에 차이가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이걸로 처리하자

홈키파 에어졸 무향 모기 파리 살충제, 500ml, 4개 - 모기/파리약 | 쿠팡

현재 별점 4.7점, 리뷰 66707개를 가진 홈키파 에어졸 무향 모기 파리 살충제, 500ml, 4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모기/파리약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 러브버그 퇴치법

1. 물비누 스프레이

  • 준비물: 물 500ml + 주방세제 1~2스푼
  • 방법: 분무기에 넣어 방충망, 창문, 벽면 등에 분사
  • 효과: 러브버그는 수분에 약해 활동을 멈추고 떨어짐

2. 선풍기 바람 + 조명 조절

  • 러브버그는 바람과 건조한 환경을 싫어함
  • 창문 쪽으로 선풍기를 틀고, 밤에는 조명을 꺼두면 유입 감소

3. 끈끈이 트랩 & 전기 파리채

  • 끈끈이 트랩: 창틀, 벽면 등에 설치
  • 전기 파리채: 직접 제거 시 유용

4. 방충망·창틀 점검

  • 틈새 차단: 실리콘, 테이프 등으로 밀봉
  • 미세방충망으로 교체 시 효과적

5. 차량에 붙었을 때

  • 즉시 물세차: 체액이 도장 손상 유발 가능
  • 식초 희석액 또는 버그 리무버 사용

🌿 러브버그 예방법

  • 허브향 퇴치제: 페퍼민트, 레몬밤 등
  • 야간 조명 최소화: CO₂와 열기에 끌림
  • 커튼 활용: 빛이 밖으로 새지 않도록
  • 차량 왁스 코팅: 벌레 부착 방지

 
왜이렇게 붙어있는건지?
💡 자세히 설명하면:
짝짓기 중일 때: 수컷이 암컷과 교미한 뒤에도 일정 시간 동안 엉덩이가 연결된 채로 날아다니거나 걷습니다.
교미가 끝나면: 결국 둘은 떨어지며, 암컷은 알을 낳기 위해 따로 행동합니다.
즉, 항상 엉덩이가 붙어 있는 건 아니고, 짝짓기 시기 동안 일정 시간 동안만 붙어 있는 거예요.

참고로
이 기간은 보통 수 시간에서 하루 이상 지속되기도 해요.
러브버그는 1년에 두 번, 봄과 가을에 대량 발생합니다.

반응형